본문 바로가기
728x90

보안/웹공부6

HTTP, Get, Post 차이 GET 이란? GET 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 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 예를들면 게시판의 게시물을 조회할 때 쓸 수 있다. GET을 통한 요청은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 이 부분을 쿼리 스트링 (query string) 이라고 부른다. 방식은 URL 끝에 " ? " 를 붙이고 그다음 변수명1=값1&변수명2=값2... 형식으로 이어 붙이면 된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이다. www.example.com/show?name1=value1&name2=value2 서버에서는 name1 과 name2 라는 파라미터 명으로 각각 value1 과 value2 의 파라미터 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 GET의 특징 GET 요청은 캐시가 가능하다. : GET.. 2023. 6. 18.
HTTP 헤더에 들어있는 정보 헤더는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General Header(공통 헤더) Request Header(요청 헤더) Response Header(응답 헤더) Entity Header(엔티티 헤더) General Header(공통 헤더) 요청과 응답 모두에 적용되지만 바디에서 최종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와는 관련이 없는 헤더 Date : 현재시간 Pragma : 캐시제어 , HTTP/1.0에서 쓰던 것으로 HTTP/1.1에서는 Cache-Control이 쓰인다. Cache-Control : 캐시를 제어할 때 사용 Upgrade : 프로토콜 변경시 사용 Via : 중계(프록시)서버의 이름, 버전, 호스트명 Connection :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할지 말지 제어. HTTP/1.1은 kepp-alive 로 .. 2023. 6. 18.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CORS) 간단하게 말하면, 웹 접속시, A도메인에서 웹에대한 정보(글, 사진 등)을 받아오는데, 이걸 A도메인에서 전부 받아오는게 아닌, A도메인에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면 속도도 느리고 용량도 많이 차지하니, 다른 B도메인에서 정보들을 받아오는 것입니다. CORS 특징으로는 A도메인이 Origin 패킷에 자신을 증명하는 자신의 도메인을 넣어 B도메인에 보냅니다. B는 이를 보고 A도메인인 것을 알아채고 응답을 주고, A도메인은 다시 원하는 정보를 요청하고, B도메인은 다시 돌려주는 통신구조입니다. 즉, Origin이라는 새로운 HTTP 헤더가 추가된 방식입니다. 2023. 6. 18.
HTTP 구조 HTTP는 헤더와 본문(BODY)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에는 실제로 통신 과정에서 주고받을 컨텐츠가 담겨져 있다. 헤더는 HTTP메시지(요청/응답)와 본문에 대한 정보를 말해주고 있다. (=요약본) ​ HTTP Method 2023. 6. 17.
HTTP Error code ​ 1XX, 2XX ​ 3XX 4XX 5XX 2023. 6. 17.
서비스 포트 포트 ​ 2023. 6.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