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Unreal/공부9

How to make a 2D game in Unreal Engine 5 - Beginner Tutorial 1. 빈 프로젝트 생성 2. Empty Level 선택 3. ctrl + space = Content Drawer 여는 단축키, 열어서 Content안에 Maps 폴더 생성 4. 현재 레벨을 다른 이름으로 저장 해서 Maps 폴더 안에 Map_SideScrolls로 저장 5. 다운 받은 에셋파일에서 PNG 폴더만 언리얼로 가져온다. 6. 다운 받은 파일중 하나를 선택해서 마우스 우클릭 > Sprite Actions > Apply paper2D Texture Settings 해주기 7. environment > layers > back(background)를 선택하고 Sprite Actions > Create Sprite 하면 실제로 게임에 배치할 수 있는 Sprite( 2D 그래픽 객체)가 생성된다. 8.. 2024. 4. 13.
언리얼엔진5 3D에셋 적용 및 이주(migration) 여러 레벨을 여러 사람이 제작할 떄, 각자가 만든 레벨을 이주기능을 통해 합치거나, 에셋 관리가 가능하다. 직접 에셋 파일을 다른 프로젝트 파일 안에 옮겨줘도 가능은 하다. 북마크 설정(카메라 시점 저장) - ctrl + 1, 2, 3 ...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기즈모 이동 시 화면도 같이 이동됨. 고급 세팅 - 키보드 단축키에서 정말 다양한 단축키가 있다. 2024. 3. 2.
언리얼 엔진5 물리 엔진을 활용한 다양한 장치 제작 is Valid - 입력값이 있으면 1 없으면 0 출력, 2가지가 있는데 ? 되어있는 것을 선택해야 입력 2개 받을 수 있음. 하나는 입력 있는지 확인, 하나는 시작 시 들어오는 신호 print string - 화면에 문자열 창 띄 set game paused - 게임 멈춤. 기본으로 있는 시작 시 입력, 2번째 EventActorBeginOverlap - 물체가 겹치면 발생 Teleport - 텔레포트 가능하게 해주는 함 Get Actor Transform - 위치, 회전, 크기 값들이 들어있다. 핀분할하면 3가지 값을 출력으로 받을 수 있다. activate - 이펙트 등을 활성화 하기위한 함 블루프린트 선들이 더러운데, 마우스휠 두번 클릭하면 우회로를 만들어 줄수있다. 컨트롤 + 마우스 좌클릭으로 .. 2024. 2. 17.
언리얼 엔진5 블루프린트를 활용한 움직이는 장치 제작 각 노드에 연결된 선 해제는 alt 누르고 선 클릭. 키(사진에 점) 추가 단축키 - shift + 마우스 왼쪽 Time 옆에 버튼을 통해 노드 기준으로 확대 가능 모든 노드 드래그 해서 마우스 우클릭 > Auto 하면 아래사진 처럼 됨, Loop 버튼을 눌러줌으로 써 5초마다 계속 반복. 컴파일 > 저장 > Timeline 창 닫아보면 Move Value 값이 활성화 된게 확인된다. 시간에 따라 이값(우리가 설정한 그래프의 값)을 계속해서 제공해준다. 우린 0~1까지로 값을 해놨으니, 곱해주는 함수를 추가하자 Get Actor Location을 만들어서 위치 값을 가져올 수 있다. 출력에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변수로 승격을 해준다. 해주면 노드가 하나 더 생성되어 연결이 가능하다. 시작 > 최초위치 불.. 2024. 2. 4.
언리얼 엔진5 레벨 제작을 위한 언리얼 모델링 입문 모드가 다양하다. 모델링 모드로 하자. shift + 5이다. 특정 아이템을 클릭이 안되게 설정 가능. 2차원 모드(상단 모드) - Alt + J, Alt + k 원근 모드 - Alt - g e와 q키를 이용해 pull(쌓기), push(한줄 제거) 가능 에셋 관리를 위해 만든 에셋은 저장할 곳을 지정해서 잘 정리해두자. 이미지에 별사탕 모양이 있으면 메모리에만 저장됐고, 디스크에는 저장이 안된 것이다. shift - e, q 하면 한칸씩 띄고 추가, 삭제 가능 T키(flip)를 이용해서 e,q하면 반대로 쌓을 수 있다. 모델링 모드에서 작업을 완료하면, 완료 버튼을 누르고 완료해야 한다. 다른 버튼 누르면 안된다! 캐릭터를 하나 두고, 그 캐릭터로 시작을 하고 싶으면, 빙의 설정에서 플레이어 0 으로 .. 2024. 2. 3.
언리얼 엔진 5 에디터 조작 언리얼 엔진 화면은 뷰포트(=Level)가 가운데에 위치, 우측에 아웃라이너, 디테일이 위치함. 이를 패널(아웃라이너 + 디테일)이라고 함. 메인바는 가장 상단에 위치한 메뉴들, 메인툴바는 그 아래 도구기능들이 있는 바이다. 아래에 콘텐츠(파일)들을 보는 것을 콘텐츠 브라우저 라고함. (단축키 Ctrl + space) 뷰포트 움직이는 방법, 마우스 우클릭 후 wasdqe로 조작 가능, alt누르고 마우스 움직이면 확대(=드래그도 가능) 게임 시작 단축키 alt + p, shift + f1 은 마우스 움직이기 위해 잠깐 탈출, 다시 되돌아가려면 esc 모든 물체들을 Actor라고 함. 아웃라이너에서 이름도 변경(f2 단축키) 가능, 액터 숨기기는 클릭하고 H, 다시 보이게는 Shift + h, 게임 플레이.. 2024. 1.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