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IT9

서버 포트포워딩 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로컬단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이 되야 가능합니다. 현재 설명하는 글에서, 서버는 와이파이(공유기)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건물에 설치된 랜선에 연결된 데스크탑입니다. 1. 서버측 컴퓨터에서 네이버에 '내 IP 주소 확인' 을 검색한다.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IP) 2. 서버측 컴퓨터에서 cmd창에서 ipconfig를 입력하여 서버측 ip를 확인한다. (공유기가 내가 지정한 서버로 패킷을 전달하기 위함) 3. 와이파이로 연결된 서버이기 떄문에, ipconfig를 입력해서 나온 기본 게이트웨이의 ip를 크롬 주소창에 입력한다. (공유기 설정) ex) '172.xx.x.xxx' 를 크롬 주소창에 입력 4. 접속해서 로그인 후(계정은 공유기 종류마다 다름), 포트 포워딩 설정에 들.. 2024. 3. 10.
[Linux] UID, GID 1. UID UID는 user identifier, user ID를 뜻합니다. 사용자의 ID를 숫자로 표시합니다. 유닉스 계열에서의 사용사 식별 번호로 수퍼유저(root)의 UID는 0입니다. 2. GID GID는 group identifier, group ID를 뜻합니다. 그룹의 ID를 숫자로 표시합니다. 유닉스 계열의 그룹 식별 번호로 수퍼유저(root)의 그룹 GID는 0입니다. 3. 확인방법 UID와 GID는 아래의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newuser:x:1000:1000::/home/newuser:/bin/bash ...(생략) $ cat /etc/group root:x:0: newuser:x:10.. 2023. 11. 4.
SDK vs API vs Framework vs Library?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특정 운영 체제용 앱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프로그램 개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간 상호 통신을 하기 위한 형식 또는 인터페이스 Framework -소프트웨어의 구체적인 부분에 해당하는 설계와 구현을 재사용이 가능하게끔 일련의 협업화된 형태로 클래스들을 제공하는 것 Library -특정 작업을 위해 쓰인 변수, 함수 등의 모음 참고 https://chibest.tistory.com/94 2023. 6. 19.
SDK vs API vs Framework vs Library? https://chibest.tistory.com/94 2023. 6. 18.
리눅스의 구조(참조) 리눅스마스터 root 패스워드 분실 대응 2 ​ 2023. 6. 18.
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TCP 송/수신 원리 클라이언트(PC)와 서버가 TCP/IP 연결이 된 모습이다. -3-wAY handshake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3Way-Handshake 송신자와 수신자간 사전에 통신 채널(세션)을 확보를 위한 연결방식 ​ -(4Way-Handshake) 데이터 전송이 완료 된 후 통신 채널(세션)을 종료를 위한 방식 ​ -서버(웹서버든 무슨서버든)에 Socket이 열려있어 이를통해 통신한다. ​ Socket - 네트워크 세계로 데이터를 내보내거나, 혹은 그 세계로부터 데이터를 받기 위한 실제적인 창구 역할을 한다. ​ -파일 전송시 읽는것(R) = Receive, 쓰는것(W) = Send로 본다. ​ -데이터 전송시 14MB를 보낸다 치면, 14MB를 일정량 만큼 쪼게서 계속 보내는 것이다. 먼저 64KB만큼 써.. 2023. 6.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