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허브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며, 각각의 컴퓨터들의 주소(MAC 주소)를 기억하지 않기 떄문에 컴퓨터를 구분할 수 없어,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지면, 통신 효율이 떨어진다.
MAC주소 :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모든 기기의 고유 번호)
스위치는 허브와 마찬가지로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장치이며, 컴퓨터들의 주소(MAC주소)를 기억해 허브보다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케 한다.
라우터(route(경로)+er)는 네트워크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이며, 통신 신호들의 경로를 지정해주는 장치이다. 내부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공유기는 네트워크의 컴퓨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IP주소를 할당해 주는 장치로, 하나의 회선에서 여러 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허브와 스위치만으로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고, 연결된 컴퓨터끼리만 네트워크가 가능. 스타에서 udp로만 게임되고 배틀넷에는 접속 안되는 것처럼. 크게보면 공유기는 라우터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728x90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K vs API vs Framework vs Library? (0) | 2023.06.18 |
---|---|
리눅스의 구조(참조) (0) | 2023.06.18 |
이해하면 인생이 바뀌는 TCP 송/수신 원리 (1) | 2023.06.17 |
TCP와 UDP 비교 (0) | 2023.06.17 |
OSI 7계층 (2) | 2023.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