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마 선택
일단 테마를 볼 수 있는 사이트가 몇개 있습니다.
여기서 맘에 드는것을 고르시면 됩니다.
국룰테마가 있나...하고 살펴봤는데, 역시 테마 추천글도 많이 있더라구요!
테마를 선택할시에
한글로 썼을때의 가독성, 서체 등등을 고려하시면 좋을 거 같아요.
저는 무난하게 github.com/thelehhman/plainwhite-jekyll
![](https://blog.kakaocdn.net/dn/l3iqm/btqZvOzsxIC/mSC6mKDQ4RjZ5S2KKLaWQk/img.png)
제가 행간의 간격을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편이거든요..넓어보여서 선택
한글에선 어떨지는 모르겠지만요..
# 테마 적용하기
✔️ 1. 자신이 선택한 테마 링크로 이동
저는 github.com/thelehhman/plainwhite-jekyll 로..
✔️ 2. 다운로드
![](https://blog.kakaocdn.net/dn/ej5oCE/btqZvMBD8hs/HIFODK5d3KyqkeSWy3uvQ1/img.png)
✔️ 3. 다운받은 폴더 열기
![](https://blog.kakaocdn.net/dn/uv4sf/btqZyuHuJoQ/PP5xS4H8nRoVix5OfKrqG0/img.png)
✔️ 4. 전체 복사
![](https://blog.kakaocdn.net/dn/wpqhb/btqZpesEgHX/TFRrIom5cCkkLyTPC4Kut1/img.png)
✔️ 5. 내 github.io 폴더에 붙혀넣기
[현재 내 github.io 폴더]
![](https://blog.kakaocdn.net/dn/yc4Zv/btqZvN2JFJ9/A4iSLTZrSKZwIytgQxzJIk/img.png)
왕초보를 위한 Github 블로그 만들기 (1)을 따라하셨다면 이렇게 되어있을텐데요.
4번에서 복사한 것을 전부!! 붙혀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xiwO/btqZFtBSsye/ZqkSscHRFYvmxFTqKlrrY0/img.png)
뭐 이런것들이 겹칠텐데..저는 모두 대치해줄게요.
✔️ 6. bundle install
터미널에
bundle install
을 입력해줍니다.
✔️ 7. bundle exec jekyll serve
터미널에
bundle exec jekyll serve
을 입력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Rs2MM/btqZrgxzXnp/K36lX2GMVXTFak8kB8BpN1/img.png)
왕초보를 위한 Github 블로그 만들기 (1)에서 봤듯이 로컬 서버를 띄웠으니 브라우저를 열어 위 주소를 입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yoLyt/btqZrgYE6YR/qyFqTd6pNkk85W4q3kD8tK/img.png)
🥺🥺
이대로 Push해도 되지만...
위 블로그에 있는 내용을 이제 제 정보로 바꾸고 난 다음에 할게요.
# 블로그 설정
✔️ 1. _congif.yml 열기
제 github.io폴더에 있는 _congif.yml을 열어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8B0Y8/btqZvOm4hsC/scweNH0CXUOHD6XplSHmfK/img.png)
✔️ 2. 자기에 맞게 설정 추가.
![](https://blog.kakaocdn.net/dn/b9mPyG/btqZqp9qiTW/nhXXu2GxQBU7Fwv0IJ2f1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yoLyt/btqZrgYE6YR/qyFqTd6pNkk85W4q3kD8tK/img.png)
위 설정에 맞게 블로그가 configure되어있는데요.
제 정보를 넣어줄게요.
이미지 같은 경우에는 경로를 넣어주면 되는데,
![](https://blog.kakaocdn.net/dn/ceXeHv/btqZqqmTZIl/V1GbhoHFMxg4VFT98bK8Jk/img.png)
assets에 이미지를 넣어주고,
![](https://blog.kakaocdn.net/dn/eegStK/btqZyvOgEip/Y8rLwL5qvEgOaO44JKro7k/img.png)
경로를 수정해주면 됩니다.
✔️ 3. 브라우저에서 확인
이것저것 수정하면 알아서 리로드가 되더라구요..?! 브라우저에서 리로드하면
![](https://blog.kakaocdn.net/dn/tUUwA/btqZGlQ8Axa/QjrmU7TbxKMFPRbsL3cgE1/img.png)
짜잔....프로필 사진은..원으로 직접 만들어줘야겠네요....
만약 리로드가 알아서 안됐다면..터미널에
bundle exec jekyll serve
를 다시 입력해주세요.
아무튼
![](https://blog.kakaocdn.net/dn/bh3RmS/btqZywzEs6h/ICdSZjJWepDASstdnZQz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Sviy/btqZGmCwj04/zFDQKnvimJgDgzsEkRZcuk/img.png)
최종...!!
꼭 이 테마가 아니더라도..! 거의 모든 테마가 이런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없이 잘 하실 수 있을 것 같아요. :D
# Post추가
![](https://blog.kakaocdn.net/dn/bx6eU4/btqZqoCG2df/RsdE4zQV1opKaNbuOoEYU0/img.png)
테마를 적용 했든 안했든 _posts폴더가 있을텐데, 이제 여기에 markdown형식으로 글을 써서 추가하면 됩니다.
짱쉬움..
# 원격에 Push
로컬에서 계속 확인하면서 변경이 모두 끝났을 때 원격에 Push하시면 됩니다.
git add .
git commit -m "본인의 커밋 메세지"
git push
원격에 Push후 username.github.io에 접속해서 확인하면 됩니다.
'Git > GitB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깃 블로그 만들기. (1) | 2023.12.30 |
---|---|
1. 깃(Git) 블로그 만들기 (0) | 2023.12.24 |